
- 38 -
국가 덴마크 캐나다 싱가포르 체코 멕시코
2004-2005
수출증가율
5119.31 2183.26 415.32 167.57 159.77
인의 우수성에 대한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한국산 제품에 대해
전반적으로 우호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은 추후 우리 기
업의 칠레 시장 진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.
③ 수출 증대방안 및 유의사항
○ 자체 유지보수 기술력 보유 업체를 중심으로 제품 공급
- 수출 제품에 대한 A/S 수요 발생시 한국으로 제품을 전달받아
수리하거나 A/S 요원을 현지로 파견할 경우 금전적 손실은 물론,
적기에 서비스가 불가하여 수입업체의 불만을 유발, 추가거래 성
사가 어려움.
- 따라서 초기 거래선 발굴시 자체적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유력
업체를 발굴하여 제품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, 바이어가 독
점권을 요구하는 경우 업체의 기술력/인력현황 등 점검을 권장
○ FTA 혜택 누리려면 첨단 기술 가미해야
- 한-칠레 FTA가 발효되었으나, HS Code 83014010 제품은 10년간 점
진적으로 관세가 인하되는 품목으로 지정되어 2006년 현재 4.36%의
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, 2014년에 이르러야 관세가 0%에 도달, 무관
세로 수입되는 미국, 유럽산 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 저하
- 그러나 지문인식 기능 등 첨단 기술을 탑재한 경우 HS 코드
85438990(무관세), 84719010, 84798990(‘06 현재 3%)등 기타 제품군으
로 분류되어 유리한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음.
④ 기타 수출 유망 지역
<
디지털 도어록 기타 수출 유망 지역
>
(단위: %)
자료원: WTA
Kommentare zu diesen Handbüchern